149. Let's talk this over. 우리 이 문제를 다시 얘기하자. |
발음 (모음음소정리)
Let's /red/ talk /strawberry/ this /pink/ over /gold/ |
발음포인트
① Talk은 strawberry, over은 gold. 오늘은 하나 하나의 발음에 집중해서 연결하는 연습을 해 보시겠습니다. 짧은 문장이니까 완벽을 기해 볼까요?
샤뽀영 해설
<우리 이 문제 다시 얘기하자.> 라고 할 때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은 Let’s talk about this again. 이렇게 영작하지요. 오늘은 더 간결하면서 많이 쓰이는 표현을 알려드립니다. 바로 Let’s talk this over. 이예요. Let’s talk about this over.은 아니예요. Over의 의미는 다시, again의 뜻이예요. 그런데 희안하지요? about this 대신 그냥 this를 써요. 왜 그럴까요? 이유는 변형 문장을 보시면 한눈에 아실 수 있어요.
변형은 동사를 바꾸시면 되요.
Let’s talk this over. <이것에 대해 다시 얘기하자.>
Let’s do this over. <이것을 다시 해 보자.>
어떠세요? About이 들어갈 이유가 없죠?
over은 의미처럼 사용도 무한반복이 가능한데요 over and over로 두 번만 쓰셔도 무한반복의 느낌이 충분합니다.
Let's talk this over and over until we come to a conclusion. <결론이 지어질 때까지 계속 다시 얘기하자.>
Let's do this over and over until we get it right. <잘 할수 있을때까지 계속 다시 해 보자.>
over vs again
자아, 그럼 이쯤되면 again은요?라고 질문하실 것 같아서 차이점을 말씀드려야 겠네요. 우선 over과 again의 공통점은 둘다 무한반복 가능한점이예요.
하지만 초반에 말씀드렸듯이 again을 사용하면 문장이 약간 길어져요.
We talked about this again and again.
= We talked this over and over.
뜻은 어떨까요?
아주 중요한 점이 하나 있어요.
over은 다시 처음부터 뒤 엎는 느낌이구요 (다시하고 다시 하고..)
again은 다시 하는 건데 꼭 처음일 필요는 없어요. (또 하고 또 하고..)
간단한 예로
Let's start over. (Let's start this/it over.) 하면 <우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.> 하다가 일이 잘못 되었을 때 했던 걸 뒤엎고 다시 처음부터 시작하는 느낌.
Let's start again. (Let's start this/it again.)은 <우리 또 시작하자.> 시작버튼을 다시 누르는 거. stop이나 pause했던 것을 다시 재가동시키는 느낌.
그래서 한 문장에 모두 들어가는 게 가능해요.
Let's start over again. <우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걸 (over) 또(again) 하자>
그럼 아까 배웠던 문장을 다시 볼까요?
Let's talk this over and over until we come to a conclusion. <결론이 지어질 때까지 계속 다시 얘기하자.> 즉, 원점으로 돌아가서 다시 얘기한다는 느낌이겠네요.
샤롱의 뽀대나는 TIP: 전 문법이 이해가 안 가거나 영작이 안 되면 정확히 알고 있는 어떤 문장에 대입을 시켜 보는 연습을 많이 했어요. 그리고 미국인들이 쓰는 말을 잘 귀에 담아두었다가 변형이 그렇게도 되는 구나 하고 확인을 하는 거죠. 그럼 많이 느실 거예요. 미국인들이 쓰는 표현을 실제 생활에서 잘 들을 기회가 없다면 핑계겠죠? 원어민 자녀를 두셨으니 아이들이 하는 말들을 귀담아 들으시거나 미드를 보시거나 책을 읽는 것도 방법들이니까요.
샤롱쌤 듣기
[For Androids]
[for iPhones]
[For Androids]
[for iPhones]
오늘 2호점 출첵문제 (1호점 출첵문제는 달라요. 1호점 149호 바로가기)
1. 우리 다시 시작해. (첨부터 다시)
2. 우리 또 시작해. (멈췄던 곳 부터 한번 더)
지난 2호점 출첵문제
1. 네가 그를 직접 만나봐. (동행인이 있을 수 있음. 중요한 건 직접, 몸소 갔다는 것) You should meet him yourself.
2. 네가 그를 혼자서 만나봐. (동행인 없이).
You should meet him by yourself.
미리보는 다음문장
150. 날 변호하자면, (글 올라올 때까지 생각해 보셔요.)
영어가 늘고 싶은 맘은 굴뚝같지만 하루에 한 문장 보는 것도 사실은 힘드시죠? 생각처럼 안 되실 거예요. 뽀문장 알리미로 도와드려요. 매일 카톡으로 링크를 받으세요. 카톡안내
'뽀문장 시즌 1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뽀대나는 미국영어 150호] 날 변호하자면, 나도 할 말 하자면 이래 (57) | 2014.05.30 |
---|---|
뽀대나는 미국영어 148호] 네가 직접 하지 그래? (58) | 2014.05.29 |
뽀대나는 미국영어 147호] 두 말하면 잔소리죠, 말할 것도 없이 (56) | 2014.05.27 |